본문 바로가기
의료기기

소독과 멸균 - 멸균소독기, Steam Sterilizer

by 비엠이 2020. 12. 10.

고위험 의료기기 목록

(1) Defibrillator(제세동기)

(2) Electrosurgical Unit(전기 수술기)

(3) Ventilator(인공호흡기)

(4) Steam Sterilizer(멸균소독기)

(5) Incubator(보육기)

(6) Anesthesia Machine(마취기)

(7) CRRT(지속적인 신장 대체 치료 장치)

(8) EBS(응급 체외 순환펌프)

(9) Heart Lung Machine(심폐소생기)

가. 멸균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의료기구나 물품의 올바른 소독과 멸균은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다. 환자를 둘러싼 의료기관의 환경 표면은 미생물에 의해 오염되기 쉽고, 오염된 환경은 환자에게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지침은 의료 기관에서 의료기구나 물품의 재사용 시 요구되는 올바른 수준의 소독 및 멸균을 시행하고, 청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한다.

이때 멸균이란 미생물에 물리적, 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완전히 사멸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즉, 미생물(세균 균류, 박테리아)과 아포를 완전히 사멸하는 것이며 멸균상태는 어떤 형태의 생명력이 있는 미생물도 살아 있지 않은 상태이다.

소독은 물체의 표면에 있는 세균의 아포를 제외한 미생물을 사멸하는 방법이다.

소독은 강도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높은 수준 소독(high-level disinfection): 모든 미생물과 일부 세균의 아포를 사멸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중간 수준 소독(intermediate-level disinfection): 결핵균과 영양성 세균, 대부분의 바이러스와 진균을 사멸시키나 아포는 사멸시키지 못한다.

낮은 수준 소독(low-level disinfection): 10분 이내에 대부분의 영양성 세균과 일부 진균과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으나 결핵균과 아포는 사멸시키지 못한다.

- 소독과 멸균의 적용 원칙

의료기구 및 물품은 환자와의 접촉 방법과 상황에 따라 고위험, 준위험 및 비위험 기구로 분류하며, 이에 따라 소독과 멸균의 수준을 적용한다.

1) 고위험 기구(critical items)는 무균 조직, 혈관계에 삽입되는 기구(물품)로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어떠한 미생물이라도 존재하지 않아야 하며, 멸균 상태로 구매하거나 의료기관 내에서 매 사용 시마다 멸균 처리 후 사용한다. --> 소독 및 멸균방법: 화학 멸균

2) 준위험 기구(semicritical items)는 점막이나 손상된 피부에 접촉하는 것으로 모든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지만 일부 세균의 아포는 허용된다. 매 사용 시마다 높은 수준 소독 또는 멸균을 시행한다. --> 소독 및 멸균방법: 화학 멸균 높은 수준 소독

3) 비위험 기구(non-critical items)는 손상이 없는 피부와 접촉하고 점막에 사용하지 않는 기구(물품)로 대부분의 영양성 세균을 사멸할 수 있는 낮은 수준의 소독을 적용한다. 이러한 기구는 의료종사자의 손을 오염시키거나 의료기구와의 접촉을 통해 이차적으로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매 환자 사이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소독한다. --> 소독 및 멸균방법: 낮은 수준 소독

출처: 질병관리본부 '의료기관에서의 소독과 멸균 지침' 2014. 12.

나. 멸균 방법

멸균방법은 크게 열을 이용한 방법(고압증기 멸균, 신속 멸균, 건열 멸균)과 저온 멸균(가스 멸균, 가스 플라스마 멸균, 과초산 멸균)으로 나뉜다.

1) 고압증기 멸균법(High pressure steam sterilization)

135℃에서 5분(pre-vacuum type) 혹은 120℃에서 20분 (gravity type) 동안 고온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미생물, 포자 등을 가열해 멸균하는 방법이다.

대상 기구: 손상되지 않는 내외 과용고위험기구(금속기구, 리넨류, 거즈류)

- 장점

가) 빠르게 증기를 가열해 대상물에 침투해 멸균 시간이 빠르다.

나) 열과 습기에 약한 제품이 아니라면 다양한 물품을 멸균한다.

다) 멸균과정 중 독성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라) 사용방법이 쉬우며 신뢰성과 경제성이 가장 높은 멸균법이다.

- 단점

가) 열에 약한 제품에는 사용할 수 없다.

나) 수분이 잔여 할 경우 부식의 원인이 된다.

다) 소독 후 잔열에 의해 화상의 우려가 있다.

라) 멸균기 내부의 잔여 공기에 의해 멸균과정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2) E.O. 가스 멸균법(Ethylene Oxide sterilization)

가스 멸균은 증기 멸균과 상호 보완적인 멸균방법으로 고온, 고압이나 습기로부터 특성이 변할 수 있는 것이나 구조적으로 증기 멸균에 부적합한 의료기자재를 저온으로 멸균하는 기술이다.

산화에틸렌(EO, Ethylene Oxide)은 독성, 가연성, 폭발성이다. EO 가스 멸균기는 “에틸렌옥사이드(EO)“와 “프레온(Freon)“ 또는 “이산화탄소(CO2)“의 혼합가스를 멸균 매체로 사용하여 의료기자재를 멸균하는 장치로서 Ethylene Oxide Gas의 독성을 이용하여 virus 및 기타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화학적 소독기이다.

대상 기구: 대부분의 의료기구에 사용 가능, 온도와 수분에 민감한 고위험기구 멸균 시 사용

- 장점

가) 고온, 습도, 압력 없이 건조된 물질에 쉽게 침투한다.

나) 물품에 부식, 손상을 주지 않는다.

- 단점

가) 멸균처리 과정이 길고, 스팀멸균에 비해 경비가 많이 지출된다.

나) 정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50℃에서는 12시간, 60℃에서는 8시간, 실온에서는 7일 소요)

- 멸균 공정

산화에틸렌(EO) 멸균 공정은 프리 컨디셔닝 그리고/또는 컨디셔닝, 멸균, 및 통기를 포함해야 한다.

가) 프리컨디셔닝 그리고/또는 컨디셔닝 : 멸균 주기 이전에 멸균 로드 전체에 미리 정한 온도와 상대습도에 이르기 위한 제품의 처리 과정으로써, 로드 내에 명시된 온도와 상대습도를 얻기 위해 명시된 시간 동안 관리된 조건도를 얻기 위해 수행되어야 한다.

나) 멸균 주기 : 멸균 주기는 다음을 포함한다.

(1) 공기 제거(air removal)

(2) 컨디셔닝(조정(conditioning)

(3) 멸균제 투입(sterilant injection)

(4) 노출 시간 동안 명시된 조건의 유지(maintenance of specified conditions for the exposed time)

(5) 멸균제 제거(sterilant removal)

(6) 플러싱(flushing)

(7) 대기압식 공기 주입(air admission to atmospheric pressure)

다) 통기 : 멸균 공정의 일부로써 산화에틸렌 그리고/또는 그 반응물을 미리 정한 수준까지 의료기기로부터 없애는 과정이다. 제품은 정해진 기간 동안 통기를 위해서 명시된 조건 아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멸균기나 분리된 챔버나 방 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

3) 과산화수소 가스 플라스마 멸균법

58%의 과산화수소가 멸균원이며 기구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공기와 습기를 제거 후 과산화수소수를 멸균제로 사용하는 플라스마 상태의 산소를 만들어 46℃±2℃에서 멸균한다.

대상 기구: 대부분의 의료기구에 사용 가능 열과 습도에 민감한 물품 가능

- 장점

가) 빠른 장비 회전으로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다.

나) 저온 멸균으로 기구의 수명이 길어진다.

- 단점

가) 액체를 흡수하는 물품에는 사용할 수 없다.

나) 기구의 관의 길이, 직경 등에 따라 멸균력이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