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

아두이노를 이용한 환자감시장치(Patient Monitor) 제작

by 비엠이 2020. 12. 10.

세계적으로 의료비 절감과 치료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모바일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Apple, Google, 삼성전자 등 ICT의 메이저 기업들의 시장 진입과 함께 다양한 신생 기업이 등장하고 있으며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 열기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전 세계 헬스 케어 시장은 402억 달러, 국내 시장은 약 3억 달러 수준의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헬스 케어 기기와 관련 콘텐츠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출시된 샤오미 미 밴드의 경우 심박 수와 걸음 수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준다. 걸음 수 등의 정보 또한 물론 중요한 정보이지만 본 논문에서는 걸음 수 등 부수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인체에게 많은 영향을 주는 심박 수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려고 한다. 또한 과거의 심박 수를 저장하여 그래프를 통해 사용자에게 심박 수 변화를 한눈에 제공을 하여 사용자의 헬스케어에 도움을 주려고 한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소형의 환자감시장치를 제작하려 한다. 가장 먼저 심박수 측정을 위한 PPG센서를 사용해 심박 데이터를 측정한다.

1. 심박 수 측정 원리

심박 수는 ECG(Electrocardiography) 신호와 PPG(Photoplethysmography) 신호로 측정 가능하다. 혈압과 ECG 신호의 경우 측정하려면 하드웨어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PPG를 이용했다. PPG센서의 경우 투과형과 반사형 두 가지가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반사형 센서(SZH-SSBH-035 Pulse)를 사용했다.

SZH-SSBH-035 Pulse/Heart Rate Sensor

 

 

반사형 센서는 LED에서 빛을 방출하고 측정부위에서 반사된 빛의 양을 측정해 전압으로 출력을 내보낸다. 심장이 박동될 때 동맥에 흐르는 피의 양이 변화하게 되는데 측정 부위의 혈류량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전압의 변화에 따라 심박 수를 계산할 수 있다.

 

 혈류량에 따른 출력 변화 (ubpulse 340 data sheet) ​

 

2. 전체 시스템 설계

사용자로 하여금 펄스센서 SZH-SSBH-035를 통해 마이크로컨트롤러 Arduino UNO에서 ADC값을 측정하여 블루투스 모듈 HC-06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을 하고 스마트폰에서 실시간 심박 그래프를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심박 수를 출력하여 앱 상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심박센서와 LCD 연결

아래 그림은 심박 수 계산 방법을 보여준다. 최신 10개의 피크 값을 배열에 저장하여 Peak to Peak값을 배열에 저장하여 interval to interval 값을 계산하여 심박수를 구할 수 있다. Raw Data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문턱 치를 설정하고 thresh값을 설정해 조건을 걸었다.

심박 수 계산 방법

 

16x2 LCD 모듈과 RTC모듈에선 RTC 모듈에 I2C 통신을 통해 초기 시간을 설정 후 Arduino UNO로 시간 데이터를 전송해 주고 LCD 모듈에선 그 데이터를 받아 계속해 디스플레이해주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추가적으로 혈중 산소포화도(SPO2) 센서(MAX30100)와 접촉식 체온센서(tmp36)를 사용하여 두 데이터를 추가로 획득하여 환자 감시장치 제작을 마무리하였다.

MAX30100 -- 아두이노

MAX30100 -- 아두이노

Vin -- VCC

GND -- GND

SCL -- 아날로그 핀 1

SDA -- 아날로그 핀 2

접촉식 체온센서(tmp36)

 

3. 결론

 

1) PPG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전송하고 앱에서 실시간으로 보여주며 심박 수 디스플레이하였다. 그리고 RTC모듈과 LCD 모듈을 사용해 시간을 디스플레이해주었다. 그로 인해 실제 의료기기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많은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2) 실질적으로 체온, 혈중 산소포화도 측정을 해서 LCD 디스플레이에 출력시켜 학생 신분이지만 직접 의료기기를 제작하였다는 것이 신기하였고 의료기기 공부에 대한 동기가 더욱 확실하게 생기는 것을 느꼈다.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로봇팔 프로젝트 - 1  (0) 2020.12.11
라즈베리파이 MQTT 사용  (0) 2020.12.10
4D프린팅 기술  (0) 2020.12.10